vmplayer 내의 게스트 OS가 통신을 하려는 대상을 3개로 나눈다면
-
내부망에서 완전한 컴퓨터 처럼 보이려는 경우. embedded 장비와 통신을 하려면 vmplayer내의 게스트 OS(내 경우에는 redhat9)가 embedded 장비입장에서 완전한 컴퓨터여야 했다.
-
호스트 OS와의 통신을 하려는 경우. vmplayer 의 경우 공유폴더가 없기 때문에 호스트 OS와 파일교환을 하려면 서로 통신을 할수 있는 환경을 꾸미고 scp 등으로 파일공유를 하는게 제일 편했다.
-
게스트 OS에서 인터넷으로 웹서핑등을 하려는 경우
로 나눌수 있다. 맨 처음의 경우는 실제 랜카드를 Bridge로 사용하여 통신하면 되고 후자의 두 경우는 vmplayer를 깔때 딸려 설치되는 가상 랜(VMNet)을 이용해 NAT을 이용하면 된다. 이렇게 랜카드를 vmplayer에 매칭시켜주는 프로그램을 vmplayer 폴더에서 찾을 수 있다.
vmnetcfg 프로그램을 실행시켜서 브릿지에 Physical LAN을 설정해주고 NAT에는 VMNet8을 지정해 준다.
브릿지를 사용하여 내부망에서 통신하기
브릿지를 이용한 통신에서 키포인트는 자신의 서브넷을 구축하는 것이다. 내 경우에는 Physical LAN을 게이트웨이로 삼고 192.168.11.0/24 (-_- 맞나, 어쨌든 0 ~ 255)을 서브넷으로 하여 embedded 장비와 vmplayer 내의 게스트OS를 통신했다. 게스트OS의 주소는 192.168.11.111 이었고 embedded 장비의 주소는 192.168.11.112 였다.
- 호스트 OS인 XP에서 설정
- 게스트 OS인 Redhat에서 설정
NAT를 이용하여 호스트OS와의 통신 및 인터넷 공유
게스트OS쪽에서 호스트OS와 인터넷을 공유하거나 호스트OS와 통신을 하려고 한다면 NAT으로 설정하는게 간편하고 쉽다. vmplayer에서 NAT이용할때 이 랜을 사용하겠다고 vmnetcfg 프로그램에서 지정한 랜을 자동으로 해놓고 vmplayer 에서 NAT으로 설정하면 끝이다. 만일 호스트OS와 인터넷을 공유하고 싶다면 XP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공유를 사용하면 된다.